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29 20. 협동, 상호성, 용서 1974년에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토론토 대학 교수 애너톨 래퍼포트는 다음과 같은 견해를 발표한다. 타인을 상대로 행동하는 방식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것은 1) 협동, 2) 상호성, 3) 용서 이다. 다시 말해서 한 개인이나 조직이나 집단이 다른 개인이나 조직이나 집단을 만날 때 먼저 협동을 제안하고, 상호성의 원칙에 따라서 자기가 받은 만큼 남에게 주는 데에서 이익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상대가 도움을 주면 이쪽에서도 도움을 주고 상대가 공격을 하면 똑같은 방식과 똑같은 강도로 반격을 가한다. 그러고 나서는 상대를 용서하고 다시 협동을 제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1979년에 정치학자 로버트 액설로드는 살아 있는 존재처럼 행동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을 가르는 일종의 토너먼트를 .. 2025. 1. 25. 창세기 43장 그 땅이 기근이 심하고그들이 애굽에서 가져온 곡식을 다 먹으매 그 아버지가 그들에게 이르되 다시 가서 우리를 위하여 양식을 조금 사오라유다가 아버지에게 말하여 이르되 그 사람이 우링게 엄히 경고하여 이르되 너희 아우가 너희와 함께 오지 아니하면 너희가 내 얼굴을 보지 못하리라 하였으니아버지께서 우리 아우를 우리와 함께 보내시면 우리가 내려가서 아버지를 위하여 양식을 사려니와아버지께서 만일 그를 보내지 아니하시면 우리는 내려가지 아니하리니 그 사람이 우리에게 말하기를 너희의 아우가 너희와 함께 오지 아니하면 너희가 내 얼굴을 보지 못하리라 하였음이니이다이스라엘이 이르되 너희가 어찌하여 너희에게 또 다른 아우가 있다고 그 사람에게 말하여 나를 괴롭게 하였느냐그들이 이르되 그 사람이 우리와 우리의 친족에 대하.. 2025. 1. 25. 19. 앙크 앙크는 고대 이집트에서 신들과 파라오들의 상징이었다. "고리 달린 십자가" 라는 별명이 말해 주듯, 타우 십자가, 즉 T자형 십자가 위에 둥근 고리 모양의 손잡이가 붙어 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이것을 "이시스의 매듭"이라고도 불렀다. 둥근 고리를 이시스 여신과 동일시되던 생명나무의 상징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앙크는 인간이 신성에 도달하자면 어떤 매듭을 풀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키기도 한다. 매듭을 푸는 행위를 통해서 인간 영혼의 진화가 대단원을 맞이하리라는 사실을 보여 준다는 것이다. 고대 이집트의 벽화를 보면 태양신 아톤에 대한 신앙을 창시한 파라오 아크나톤과 태양신을 섬기던 사제들의 손에 앙크가 들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특별한 십자가는 영원한 생명을 여는 열쇠이자 속인들이 금단의 지대로 들.. 2025. 1. 24. 창세기 42장 그 때에 야곱이 애굽에 곡식이 있음을 보고 아들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어찌하여 서로 바라보고만 있느냐야곱이 또 이르되 내가 들은즉 저 애굽에 곡식이 있다 하니 너희는 그리로 가서 거기서 우리를 위하여 사오라 그러면 우리가 살고 죽지 아니하리라 하매요셉의 형 열 사람이 애굽에서 곡식을 사려고 내려갔으나야곱이 요셉의 아우 베냐민은 그의 형들과 함께 보내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그의 생각에 재난이 그에게 미칠까 두려워함이었더라이스라엘의 아들들이 양식 사러 간 자 중에 있으니 가나안 땅에 기근이 있음이라때에 요셉이 나라의 총리로서 그 땅 모든 백성에게 곡식을 팔더니 요셉의 형들이 와서 그 앞에서 땅에 엎드려 절하매요셉이 보고 형들인 줄을 아나 모르는 체하고 엄한 소리로 그들에게 말하여 이르되 너희가 어디서 왔느냐 그.. 2025. 1. 24. 18. 일리히의 법칙 이만 일리히는 오스트리아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사회 사상가이자 가톨릭 성직자이다. 로마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잘츠부르크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에 미국으로 건너가 가톨릭 사제로 활동했으며, "학교 없는 사회"나 "창조적인 실업"과 같은 수많은 저작을 출간했다. 그는 다양한 분야에 걸친 풍부한 교양을 바탕으로 현대 문명의 문제점들을 예리하게 비판했다. 1960년 일련의 교회 정책에 반대하며 가톨릭 사제직에서 물러난 뒤에 멕시코의 쿠에르나바카에 "국제 문화 자료 센터"를 설립하여 산업 사회에 대한 비판적 분석에 몰두 했다. 그는 "공생을 위한 도구"라는 책에서 인간의 자율적인 행위가 서로 교환되는 공생의 사회를 주장했다. 인간이 공생적인 삶을 살 수 있으려면 사회 구성원들이 저마다 최소한의 .. 2025. 1. 24. 소리는 어떻게 인지되는가? 인간의 귀는 소리를 모아 고막까지 전달하는 외이, 공기의 진동을 액체의 진동으로 변환하는 고막과 이소골 등이 들어 있는 중이, 소리를 인식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내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소리는 외이를 통해 고막에 전달되고 고막에서는 그 소리를 증폭시켜 이소골로 전달합니다.이소골은 고막에 연결된 작은 뼈 3개, 즉 망치골, 모루골, 등자골로 이루어집니다.이소골의 형태는 거의 진화되지 않아서 하등동물, 고등동물 할 것 없이 생김새가 매우 비슷하다고 합니다.이소골의 역할은 달팽이관 속 액체를 진동시켜서 소리를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3개의 이소골은 지렛대의 원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힘을 전달합니다. 나이가 들면 이소골의 지렛대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고,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스펙트럼도 달라집니다.그래서 노.. 2025. 1. 24.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