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 영어 문장 외우기/2-2. 전치사11 18. 전치사 Over 알아보기(덮듯이 위에) A over B Over는 A가 B를 덮고 있거나 포물선을 그리며 건너는 이미지입니다. A와 B가 접촉할 수도 있고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단순히 위에 있다는 느낌은 아니고, 무언가를 덮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고 고정된 느낌이 아니라 포물선을 그리며 움직인다는 느낌이 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포물선을 그리며 움직이는 것도 무언가를 덮고 있다는 이미지가 있는 거죠. 포물선의 그림이 그려지는 것은 그 영역에 건물이나 산, 강 등의 다양한 장애물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영어문장)It's like somebody just put a blanket over your head.When she was leaving, the moon was coming up over the hill.A taxi ran ove.. 2025. 2. 6. 17. 전치사 OFF 알아보기(떨어짐) A off B A가 B에 접촉해 있다가 떨어져 있는 관계를 off라고 합니다. 도마뱀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될 겁니다. 도마뱀의 꼬리는 본래 몸의 일부입니다. 다시말해 도마뱀 몸과 꼬리는 of의 관계에 있는 겁니다. 그런데 도마뱀 꼬리를 잡았더니 꼬리를 자르고 도망갔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더이상 of의 관계가 아니라 off의 관계가 된 겁니다. 이제 of와 off의 차이를 아시겠나요? 전치사 off는 이처럼 단순히 떨어져 있는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본래는 붙어 있다가 떨어져 나간" 그런 이미지 입니다. (영어문장)(You) Get off the stage, geek!She's poking around into why you jumped off the roof.We got so.. 2025. 2. 5. 16. 전치사 On 알아보기(접촉) A on B A가 B에 접촉해 있는 관계를 말합니다. 흔히 on을 "~위에"라고 이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on의 진짜 이미지는 "접촉"입니다. 이 접촉의 이미지는 위든 아래든 옆이든 상관없이 어딘가에 붙어있는 느낌입니다. on은 A가 B의 상하좌우에 관계없이 닿아 있으며, A가 표면상에 있는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A가 B보다 작지만, 더 큰 경우도 있습니다. (영어문장)I was on the dance floor like I told you.There was a message on the screen.I changed the locks on the door.That thing almost fell on me!It's been six days since I've laid eyes on you... 2025. 2. 3. 15. 전치사와 부사를 구분하는 문제 전치사와 부사를 꼭 구분해야 할까요? 전치사로 쓰이든 부사로 쓰이든 기본 이미지는 변하기 않기 때문이죠. 원어민들도 전치사와 부사를 굳이 구별하지는 않거든요. 우리도 전치사와 부사를 엄밀하게 구분하면서 학습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 느낌만 이해하고 가면 될 것 같습니다. 전치사는 at, from 등의 일부만 제외하고는 거의 부사로도 사용됩니다. out of 처럼 부사와 전치사가 결합되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이어동사에 주로 쓰이는 부사도 있습니다. I ball the paper up. 내가 그 종이를 구겨버렸어.여기에서 I ball up the paper. 라고 the paper 를 옮겨쓸 수 있을까? 이런 질문 많이 들어봤을 겁니다.up이 전치사인지 부사인지 구분해보라는 거죠. up이 부.. 2025. 1. 26. 14. 전치사를 고르는 기준 전치사는 우리말에 없는 개념이죠. 그러다 보니 어렵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사라고 하는 비슷한 역할을 하는 것은 있지만 전치사의 느낌을 다 담고 있지는 못합니다. 전치사도 동사처럼 상당히 많은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뜻을 전부 외운다는 게 어려운 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전치사도 동사와 마찬가지로 기본 이미지가 있습니다. 의미를 일일이 외울 필요 없이 핵심적인 이미지만 알면 얼마든지 확장을 할 수 있습니다. 전치사의 개수는 60개가 넘는다고 합니다.비슷한 의미의 전치사들도 많아서 어떤 상황에 어떤 전치사를 써야 할지 어렵다고들 하죠.그렇다면 이렇게 많은 전치사 중에 상황에 맞는 전치사를 고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전치사 고르는 기준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우리 말로는 비슷한 느낌이어도.. 2025. 1. 25.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