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삶에 도움되는 지식

축의금, 얼마 하는 게 좋을까요?

by 샛별73 2025. 2. 1.
반응형

다가오는 봄에는 여기저기 결혼을 하는 커플들이 많을 건데, 친하다고 생각한 지인이 결혼을 앞두고 모바일 청첩장만 보냈어요. 당신은 축의금을 얼마나 낼 건가요?

 

통용되는 기준이 있어요.

사실 축의금은 축하의 마음을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해진 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정해진 적정선은 있죠. 축의금은 내가 생각하는 친분의 정도를 기반으로 금액을 측정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친분이 적은 경우 5만원, 친분이 있는 경우 10만원, 친분이 깊은 경우에는 20만원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물가 등을 생각해서 정한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니 단순히 참고만 하세요^^

 

최근 기준이 높아지고 있어요.

결혼식 비용이 올라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코로나 기간 때 결혼을 미우던 예비부부들이 하나 둘씩 예식장에 몰리면서 결혼식 비용이 증가했습니다. 특히 하객 식대에 들어가는 비용은 거의 50% 이상 상승해 최소 7~8만원 대로 든다고 합니다. 호텔이 아닌 일반 예식장 기준입니다. 호텔은 훨~~씬 비싸겠죠.

보통 결혼식에 참석할 때 축의금은 식대값을 기준으로 기본금액을 맞추는데, 식대 값 이상은 내야 신랑, 신부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즉, 예식장 식대 비용이 올라갔기 때문에 축의금 기준이 높아지고 있는 거예요.

 

결혼식 올리려면 얼마나 들까요?

결혼정보업체 듀오가 최근 2년 동안 결혼한 신혼부부를 조사한 결과 평균적으로 예식장 1,057만원, 예단 797만원, 예물 739만원, 예식패키지 333만원을 지출했다고 합니다. 결혼식 스냅사진이나 혼주 메이크업 등등 부가 비용을 합치면 결혼식 자체 비용으로만 3,000만원을 훌쩍 넘길 가능성이 큽니다.

 

외국에서는 축의금을 얼마나 낼까요?

가장 가까운 나라인 일본의 축의금은 한국보다 더 기준이 높습니다. 3만엔, 우리나라 돈으로 30만원 정도 되는 금액부터 시작한다고 합니다. 친할수록 가격대는 더 올라가겠죠. 다만 결혼식 때 정말 가까운 동료나 친구만을 초대하는 경향이 강하고, 이후 상대방이 결혼할 때도 똑같이 돌려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의 경우 축의금을 직접 주기 보다는 원하는 가구나 물품 등을 선물해 주는 문화가 있습니다.

중국은 축의금 금액에 의미를 담아 전달하는데, 8이 "돈을 벌다"라는 글자와 발음이 유사하기 때문에, 800위안(한국 돈으로 15만원 정도)을 내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