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랫동안 파란색은 폄하되어 왔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파란색은 진정한 색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흰색, 검은색, 노란색, 붉은색만을 진정한 색으로 여긴 것이다. 염료 기술의 문제도 있었다. 염색공들과 화가들은 파란색을 제대로 염착시키지 못했다.
- 파라오 시대의 이집트만이 파란색을 피안의 색으로 여겼다. 그들은 구리로부터 이 염료를 제조해 냈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파란색이 야만인들의 색이었다. 그것은 아마도 게르만족 사람들이 유령처럼 으스스한 모습으로 보이기 위해 얼굴에 청회색 가루를 바르고 다녔기 때문일 것이다.
-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 "파랑"이라는 단어는 그 의미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았고, 회색 혹은 녹색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파랑"이라는 단어 자체가 게르만어 "블라우"에서 온 것이다. 로마인들은 파란 눈의 여자는 천하며, 파란 눈의 남자는 거칠고도 어리석다는 편견을 지니고 있었다.
- 한편 성경에서는 파란색이 언급되는 일은 드물지만, 푸른 보석인 사파이어는 가장 귀한 보석으로 여겨진다.
파란색에 대한 멸시는 서양에서는 중세까지 이어진다. 빨간색은 선명할수록 더 큰 부의 상징이 된다. 따라서 빨간색은 사제들, 특히 교황과 추기경의 옷을 물들였다.
-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역전된다. 남동석, 코발트, 인디고 덕분으로 화가들은 마침내 파란색을 염착하는 데 성공한다. 파란색은 성모의 색이 된다. 성모는 파란색 외투나 파란색 드레스를 입은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처럼 성모와 파란색이 연결되는 것은 성모가 하늘에 살기 때문이기도 하고, 파란색이 거상의 색인 검은색 계열로 간주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 이전에는 하늘이 검은색이나 흰색이었으나, 이 시대에 와서 비로소 파란색으로 칠해진다. 녹색이었던 바다 역시 목판화 등에서 파란색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유행은 바뀌어 파란색은 귀족들이 선호하는 색이 되며, 염색공들은 이 유행을 따른다. 그들은 서로 경쟁하며 점점 더 다양한 종류의 파란색을 만들어 낸다.
- 토스카나, 피카르디, 툴루즈 등지에서는 파란색 제조의 원료가 되는 식물인 "대청"이 재배된다. 파란색 염료 산업 덕분으로 이 지역들 전체가 융성하게 된다. 아미앵 대성당은 대청 상인들의 기부금으로 지어진 것이다. 반면 스트라스부르에서 붉은색의 재료인 꼭두서니를 취급하는 상인들은 성당 건축 자금을 대는 데 애를 먹는다. 이런 까닭으로 알자스1) 지방 성당들의 스테인드글라스는 악마를 예외 없이 파란색으로 묘사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파란색을 좋아하는 지방들과 붉은색을 좋아하는 지방들 사이에 일종의 문화적 전쟁이 시작된다.
종교 개혁 시대에 칼뱅은 검은색, 갈색, 파란색은 "정직한" 색이고,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은 "정직하지 않은" 색이라고 주장한다.
- 1720년 베를린의 한 약사는 감청색을 발명하며, 이로 인해 염색공들은 파란색의 색조를 더욱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항해술의 발전 덕분으로 대청보다 훨씬 강력한 염착력을 지닌, 앤틸리스 제도와 중앙아메리카의 인디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색의 세계에 정치도 끼어든다. 프랑스에서 파란색은 흰색의 왕당파와 검은색의 가톨릭파에 맞서 일어난 공화파의 색이 된다. 또한 나중에 공화파의 파란색은 사회주의자들과 공산주의자들의 붉은색과 대립한다.
1850년대 파란색의 위상을 결정적으로 드높인 옷이 등장하니, 바로 샌프란시스코의 재단사 리바이 스트라우스가 발명한 청바지이다. 현재 프랑스에서 설문 조사를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장 좋아하는 색으로 파란색을 꼽는다. 유럽에서 스페인은 붉은색을 선호하는 유일한 나라이다.
청색이 아직 발을 붙이지 못한 유일한 영역은 음식이다. 파란 통에 든 요구르트는 흰색이나 붉은색 통에 든 것보다 덜 팔린다. 파란색 음식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1) 알자스는 스트라스부르가 위치한 지방이다.
반응형
'5.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력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무(無) (12) | 2025.01.23 |
---|---|
12. 사랑의 네 가지 방식 (20) | 2025.01.22 |
10. 만약 우주에 우리밖에 없다면? (22) | 2025.01.21 |
9. 백과전서파의 흐름 (18) | 2025.01.21 |
8. 숫자의 상징체계 (1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