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 내 몸 공부

숨을 쉰다는 것

by 샛별73 2025. 1. 20.
반응형

우리는 왜 호흡을 해야 할까요?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단세포생물은 순환이 필요 없는데, 호흡도 마찬가지 입니다. 단세포생물은 주위에서 바로 산소를 공급받고 노폐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별도의 호흡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인간처럼 복잡한 생명체에서는 순환계나 호흡계가 필요합니다.

 

호흡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가스교환입니다. 이는 다시 폐를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폐호흡과 각 세포 단위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조직 호흡의 두 가지로 나뉩니다. 사실 폐호흡은 조직 호흡이 원만히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세포가 생존하려면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산소를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세포는 산소를 이용해 대사활동을 하고 에너지를 만듭니다. 전 세계에서 어디서나 통용되는 달러처럼 우리 몸 어디에서나 통용되는 에너지원이 있습니다. ATP라는 화합물이 그것입니다. ATP는 대부분 미토콘드리아에서 만들어지는데, 그 과정에서 산소가 필요합니다.
  • 따라서, 산소가 없으면 몸이 에너지를 얻을 수 없어서 기능하지 못하죠. 산소를 받아들이는 것 못지않게 대사활동의 결과를 쌓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말하자면 호흡계의 기본 기능은 에너지 생성을 돕고 몸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호흡계의 두 번째 기능은 혈액과 조직 세포의 산성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 이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합니다. 인간의 혈액과 조직세포는 모두 약한 알카리성을 띠는데, 호흡계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통해 이 상태를 유지합니다. 우리 몸의 산성도, 즉 pH는 여러 가지 복잡한 시스템의 활동에 의해 조절되는데 그중 혈액 내 이산화탄소 농도와 중탄산이온의 농도에 의해 조절되는 시스템이 가장 중요합니다.
  • 이산화탄소 비율이 높아지면 산성이 되고, 중탄산이온 비율이 높아지면 알카리성이 됩니다. 호흡계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고 신장은 중탄산이온의 배설을 조절하죠. 따라서 폐와 신장을 혈액 pH조절의 쌍두마차라고 합니다.

 

세 번째로 호흡계는 병원체나 자극물질을 제거합니다.

  • 이 작용은 기관지 섬모의 운동에 의해 일어납니다. 가령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기도에 노폐물이 많이 쌓이기 때문에 이를 체외로 배출해야 합니다. 그 노폐물 덩어리가 바로 가래입니다.
  • 따라서 가래가 끓는다는 것은 여러분의 폐가 담배 연기 같은 오염 물질에 의해 혹사당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마지막으로 살펴볼 기능은 발성을 통한 언어의 구사, 즉 의사소통입니다.

  • 인간은 성대를 진동시켜 의사소통을 합니다. 성대의 크기와 모양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성대의 길이는 키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남자 중에 키가 큰 사람은 성대 길이도 길어서 바리톤 목소리가 나고, 키가 작은 사람은 성대의 길이가 짧아 테너 목소리가 난다고 합니다.
  • 유명한 테너 가수들이 대부분 키가 작고 통통한 것은 그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결론적으로 숨을 쉰다는 것은 우리가 살아간다는 것이 아닐까요? 날씨가 많이 쌀쌀하고 미세먼지가 심한 것 같습니다. 모두 호흡기 질환에 유의하셔서 건강 관리 잘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